오기 아리타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기 아리타쓰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1965년 일본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다. 그는 1965년부터 1976년까지 도요 공업(현 산프레체 히로시마)에서 선수로 활약하며, 1966년에는 일본 사커 리그 득점왕을 차지했고, 1966년부터 1972년까지 7시즌 연속 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었다. 1963년부터 1976년까지 일본 국가대표팀에서 62경기에 출전하여 11골을 기록했으며, 1964년 도쿄 올림픽,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은퇴 후에는 산프레체 히로시마의 감독을 역임했으며, 2006년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6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야마구치 요시타다
야마구치 요시타다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으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선수 시절 히타치 제작소에서 원 클럽 플레이어로 활약했고, 은퇴 후에는 지도자와 후지에다 MYFC의 명예 감독을 역임하며 2007년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1966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이세연 (축구인)
이세연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프로 선수 경력과 국가대표 경력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 히로시마 원폭의 피폭자 - 마루야마 마사오 (정치학자)
마루야마 마사오는 도쿄 대학 법학부 교수 출신의 일본 정치학자이자 사상가로, 전후 일본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일본 정치 사상사 연구』, 『현대 정치의 사상과 행동』 등의 저서를 통해 '초국가주의' 비판과 '세' 개념 발견 등으로 알려져 있다. - 히로시마 원폭의 피폭자 - 사사키 사다코
사사키 사다코는 히로시마 원폭 피해 후 백혈병으로 투병하며 종이학을 접다가 사망했고, 핵전쟁의 비극과 평화의 중요성을 알리는 인물로 기억된다. - 1970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야마구치 요시타다
야마구치 요시타다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으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선수 시절 히타치 제작소에서 원 클럽 플레이어로 활약했고, 은퇴 후에는 지도자와 후지에다 MYFC의 명예 감독을 역임하며 2007년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1970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유구치 에이조
유구치 에이조는 1945년 오사카 출생으로 얀마 디젤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1968년 하계 올림픽에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고, 킨키 대학 축구부 감독을 역임하다가 2003년 위암으로 사망했다.
오기 아리타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오기 아리타쓰 |
출생일 | 1942년 12월 10일 |
출생지 |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센다정 |
사망일 | 해당사항 없음 |
신장 | 177cm |
포지션 | 미드필더 |
클럽 경력 | |
유소년 클럽 | 히로시마 대학 부속 고등학교 (1958-1960) 주오 대학 (1961-1964) |
클럽 | 도요 공업 (1965-1976) |
출장 및 득점 | 163경기 57득점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팀 | 일본 (1963-1976) |
출장 및 득점 | 62경기 11득점 |
감독 경력 | |
감독팀 | 도요 공업 (1977-1980) |
어시스턴트 코치 | 도요 공업 (1976) |
수상 내역 | |
주오 대학 | 덴노 컵 우승 (1962) |
도요 공업 | 일본 사커 리그 우승 (1965, 1966, 1967, 1968, 1970) 일본 사커 리그 준우승 (1969) 덴노 컵 우승 (1965, 1967, 1969) 덴노 컵 준우승 (1966, 1970) |
국가대표팀 | 1968년 멕시코 시티 올림픽 동메달 1966년 방콕 아시안 게임 동메달 |
2. 선수 경력
오기 아리타쓰는 1942년 12월 10일 히로시마에서 태어났다. 히로시마 대학 부속 초등학교 시절에는 히로시마 카프의 영향으로 야구를 좋아했지만, 광대 부속 중학교에 진학하면서 연식 야구부에 들어가 내야와 외야를 모두 소화했다.[11] 1958년 광대 부속 고등학교 진학 후에는 야구부가 없어 축구부에 입부했다.[11][12] 당시 광대 부속 축구부는 나가누마 켄 등을 배출한 전후 황금기로 불리던 시기였다.[7]
고등학교 진학 후 키가 훌쩍 자라 1학년 때부터 주전 미드필더(MF)로 고교 축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 야마시로 고등학교에 1-2로 패해 준우승했다. 2학년 때인 1959년 국민 체육 대회에서도 우라와 시립 고등학교에 0-1로 져 준우승에 머물렀다. 3학년 때인 1960년 고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우승 후보로 꼽혔으나 아키타 상업 고등학교에 0-1로 패해 8강에서 탈락했지만, 대회 우수 선수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11]
고교 시절 4번의 전국 대회 출전에도 우승은 없었지만,[7] 1960년 소련의 강호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와의 친선 경기에 전 히로시마 선발팀 멤버로 선발되어 후반 교체 출전했다.[13] 일부 언론에서는 천재 소년으로 평가받았고,[14] 같은 해 오카노 슌이치로 감독이 이끄는 아시아 유스 대표로 선발되어 AFC 유스 선수권 1961에 출전했다.[11]
1961년 주오 대학에 진학하여 2학년 때인 1962년부터 주전으로 활약했다.[11] 1962년 간토 대학 축구 리그전, 동서 학생 왕자, 전국 대학 축구 선수권 대회, 천황배 4관왕을 달성하며 공식전 무패를 기록했다.[15] 특히 천황배 결승전에서는 나가누마 켄, 히라키 류조 등 대표 선수들을 보유하고 3연패를 노리던 후루카와 전공을 상대로 승리했다.[11]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등번호 10번을 달고 미드필더(MF)로 출전, 주로 상대 에이스를 전담 마크하며 전 경기에 출전했다. 조별 리그 아르헨티나전에서 결승골을 넣어 8강 진출에 기여했다.[11] 데트마르 크라머 감독으로부터 대표팀 핵심 선수로 지목되었으며, 38m를 던지는 스로인은 대표팀의 공격 패턴 중 하나였다.[16]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는 수비형 미드필더(DMF)와 센터 백으로 활약하며, 공격 시에는 롱 패스를 전방으로 연결했다.[18] PK 명수로도 알려져 1966년 JSL 득점왕 당시 14골 중 10골이 PK였다. 대표팀에서도 PK를 전담했으며, 상대 골키퍼의 움직임을 읽는 능력이 뛰어나 실축이 거의 없었다.[7][18][21]
일본 대표팀에서는 주로 수비수(DF)로 뛰며 뛰어난 신체 능력을 바탕으로 상대 공격수(FW)를 마크했다.[11][18] 대표팀 경기 출장 수는 213경기(국제 A매치 62경기 11득점, C매치 포함 39득점)로, 멕시코 올림픽 세대 중 가마모토 구니시게, 미야모토 마사카츠 다음으로 많다. 일본 대표팀 역사상 최고의 게임 메이커 중 한 명으로 꼽히며,[7] 강한 정신력과 꾸준한 훈련으로 강인한 체력을 만들었다.[11]
2. 1. 클럽 경력
주오 대학을 졸업한 후, 1965년 고향팀인 도요 공업에 입단했다.[17] 1965년, 1966년, 1967년, 1968년 및 1970년 총 5번의 일본 사커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1966년에 리그 득점왕이 되었고, 7년 연속 베스트 11에 선정되었다(1966년–1972년).[18] 또한 1965년과 1970년에 일본 올해의 축구 선수상을 수상했다. 1976년에 은퇴했으며, 리그에서 163경기에 출전하여 57골을 기록했다.1965년부터 JSL이 시작되었고, 야마자키 요시키 부장, 오바타 미노루 총감독, 시모무라 유키오 감독을 포함해 거의 히로시마 출신으로 구성된 도요 공업은 강한 결속력과 종횡무진의 패스워크로 공격적인 축구를 전개했다.[18] 첫 해인 1965년을 12승 2무 무패로 우승하고, 1966년에 걸쳐 23연승으로 팀은 무적을 자랑하며 1968년까지 리그 4연패를 달성, JSL 27회의 역사에서 최다 5회의 우승을 기록했다. 게다가 3번의 천황배 제패 (1965년·1967년·1969년)로 황금 시대를 구축했다.[18]
오기는 주로 미드필더(MF)로 활약하며, 높은 신체 능력을 갖추고 롱 패스를 구사하는 게임 메이커이자, 프리킥과 PK의 명수였다.[11][18][19] 상대팀으로부터 오기에게는 공을 절대로 넘겨주지 말라고 마크되었고,[20] 1970년에는 시모무라 유키오에 의해 스위퍼(리베로)로 포지션을 변경했다. 1965년과 1970년에는 일본 연간 최우수 선수상을 두 번 수상했고, 1966년에는 리그 득점왕 (14골 중 PK 10골)을 차지했으며,[18] 1971년부터 1976년까지는 팀의 주장을 맡았다.[12]
1976년에는 1년만 코치를 겸임하고, 같은 해에 현역에서 은퇴했다.
2. 2. 국가대표팀 경력
1963년 8월 8일, 주오 대학 재학 중 말레이시아와의 친선 경기에서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1][2] 1964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하여 아르헨티나와의 조별 리그 첫 경기에서 A매치 데뷔골을 기록하며 팀의 8강 진출에 기여했다.1968년 하계 올림픽에도 출전하여 일본 축구 역사상 최초이자 아시아 국가 첫 올림픽 메달인 동메달 획득에 기여했다.[1] 2018년, 이 동메달 팀은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1966년 아시안 게임, 1970년 아시안 게임, 1974년 아시안 게임에도 출전하여 1966년 아시안 게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2] 1976년까지 A매치 통산 62경기 11골을 기록하고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반납했다.
3. 지도자 경력
오기는 현역 은퇴 후 1977년 마쓰모토 이쿠오의 후임으로 친정팀 산프레체 히로시마(당시 도요 공업)의 감독이 되었다. 1980년까지 3년간 팀을 지휘하며 1977 시즌 일본 사커 리그 4위, 1978년 천황배 준우승 등의 성과를 이끌었다.
2006년에는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2]
4. 기타 경력
선수 경력 | |
---|---|
1958년 - 1960년 | 히로시마 대학 부속 고등학교 |
1961년 - 1964년 | 주오 대학 |
1965년 - 1976년 | 도요 공업 |
지도자 경력 | |
1976년 | 도요 공업 코치 (선수 겸임) |
1977년 - 1980년 | 도요 공업 감독 |
기타 경력 | |
2005년 - 현재 | 히로시마현 축구 협회 회장 |
국가대표팀 경력 | |
1964년 도쿄 올림픽 | 8강 |
아시안 게임 | 1966, 1970, 1974 |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 동메달 |
1970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
1972년 뮌헨 올림픽 예선 | |
1974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예선 |
5. 수상 내역
개인 수상 | ||
---|---|---|
일본 올해의 선수 | 1965년, 1970년 | |
일본 사커 리그 득점왕 | 1966년 | |
일본 사커 리그 베스트 11 | 1966년, 1967년, 1968년, 1969년, 1970년, 1971년, 1972년 | |
아시아 올스타 | 1967년[3], 1968년[4] | |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 헌액 | 2006년[5] | |
욱일장 5급 금광선 | 2017년[6] |
5. 1. 개인
수상 내역 |
---|
연도 | 출장 | 득점 |
---|---|---|
1963 | 7 | 2 |
1964 | 12 | 3 |
1965 | 11 | 2 |
1966 | 17 | 8 |
1967 | 23 | 7 |
1968 | 24 | 1 |
1969 | 21 | 3 |
1970 | 28 | 2 |
1971 | 17 | 4 |
1972 | 19 | 6 |
1973 | 12 | 0 |
1974 | 20 | 3 |
1975 | 1 | 0 |
1976 | 2 | 0 |
통산 | 214 | 41 |
No. | 개최일 | 개최 도시 | 경기장 | 상대팀 | 결과 | 감독 | 대회 |
---|---|---|---|---|---|---|---|
1 | 1963년 8월 8일 | 쿠알라룸푸르 | ○4-3 | 나가누마 겐 | 메르데카 대회 | ||
2 | 1964년 10월 16일 | 도쿄도 | 고마자와 올림픽 공원 종합 운동장 육상 경기장 | ●2-3 | 올림픽 | ||
3 | 1965년 3월 25일 | 싱가포르 | ○4-1 | 국제 친선 경기 | |||
4 | 1965년 3월 27일 | 쿠알라룸푸르 | △1-1 | 국제 친선 경기 | |||
5 | 1966년 12월 10일 | 방콕 | ○2-1 | 아시안 게임 | |||
6 | 1966년 12월 11일 | 방콕 | ○3-1 | 아시안 게임 | |||
7 | 1966년 12월 14일 | 방콕 | ○1-0 | 아시안 게임 | |||
8 | 1966년 12월 16일 | 방콕 | ○5-1 | 아시안 게임 | |||
9 | 1966년 12월 17일 | 방콕 | ○5-1 | 아시안 게임 | |||
10 | 1966년 12월 18일 | 방콕 | ●0-1 | 아시안 게임 | |||
11 | 1966년 12월 19일 | 방콕 | ○2-0 | 아시안 게임 | |||
12 | 1967년 9월 27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15-0 | 올림픽 예선 | ||
13 | 1967년 9월 30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4-0 | 올림픽 예선 | ||
14 | 1967년 10월 3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3-1 | 올림픽 예선 | ||
15 | 1967년 10월 7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3-3 | 올림픽 예선 | ||
16 | 1967년 10월 10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1-0 | 올림픽 예선 | ||
17 | 1968년 3월 30일 | 시드니 | △2-2 | 국제 친선 경기 | |||
18 | 1968년 4월 4일 | 애들레이드 | ○3-1 | 국제 친선 경기 | |||
19 | 1968년 10월 14일 | 푸에블라 | ○3-1 | 올림픽 | |||
20 | 1969년 10월 10일 | 서울 | ●1-3 | 월드컵 예선 | |||
21 | 1969년 10월 12일 | 서울 | △2-2 | 월드컵 예선 | |||
22 | 1969년 10월 16일 | 서울 | △1-1 | 월드컵 예선 | |||
23 | 1969년 10월 18일 | 서울 | ●0-2 | 월드컵 예선 | |||
24 | 1970년 7월 31일 | 쿠알라룸푸르 | ●1-2 | 오카노 슈이치로 | 메르데카 대회 | ||
25 | 1970년 8월 2일 | 쿠알라룸푸르 | △1-1 | 메르데카 대회 | |||
26 | 1970년 8월 4일 | 쿠알라룸푸르 | △0-0 | 메르데카 대회 | |||
27 | 1970년 8월 8일 | 쿠알라룸푸르 | ○4-3 | 메르데카 대회 | |||
28 | 1970년 8월 10일 | 쿠알라룸푸르 | ○4-0 | 메르데카 대회 | |||
29 | 1970년 8월 16일 | 쿠알라룸푸르 | ○3-2 | 메르데카 대회 | |||
30 | 1970년 12월 10일 | 방콕 | ○1-0 | 아시안 게임 | |||
31 | 1970년 12월 12일 | 방콕 | ○1-0 | 아시안 게임 | |||
32 | 1970년 12월 14일 | 방콕 | ○2-1 | 아시안 게임 | |||
33 | 1970년 12월 16일 | 방콕 | ○2-1 | 아시안 게임 | |||
34 | 1970년 12월 17일 | 방콕 | ○1-0 | 아시안 게임 | |||
35 | 1970년 12월 18일 | 방콕 | ●1-2(연장) | 아시안 게임 | |||
36 | 1970년 12월 19일 | 방콕 | ●0-1 | 아시안 게임 | |||
37 | 1971년 7월 28일 | 코펜하겐 | ●2-3 | 국제 친선 경기 | |||
38 | 1971년 8월 13일 | 레이캬비크 | ○2-0 | 국제 친선 경기 | |||
39 | 1971년 9월 27일 | 서울 | ○8-1 | 올림픽 예선 | |||
40 | 1971년 9월 29일 | 서울 | ○5-1 | 올림픽 예선 | |||
41 | 1971년 10월 2일 | 서울 | ●1-2 | 올림픽 예선 | |||
42 | 1972년 7월 12일 | 쿠알라룸푸르 | ○4-1 | 나가누마 겐 | 메르데카 대회 | ||
43 | 1972년 7월 16일 | 이포 | ○5-0 | 메르데카 대회 | |||
44 | 1972년 7월 18일 | 쿠알라룸푸르 | ○5-1 | 메르데카 대회 | |||
45 | 1972년 7월 22일 | 쿠알라룸푸르 | ●1-3 | 메르데카 대회 | |||
46 | 1972년 7월 26일 | 쿠알라룸푸르 | ●0-3 | 메르데카 대회 | |||
47 | 1972년 8월 4일 | 싱가포르 | ○4-1 | 페스타 스칸 대회 | |||
48 | 1972년 8월 6일 | 싱가포르 | ●0-1 | 페스타 스칸 대회 | |||
49 | 1972년 9월 14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2-2 | 한일 정기전 | ||
50 | 1973년 5월 16일 | 서울 | ●1-2 | 월드컵 예선 | |||
51 | 1973년 5월 20일 | 서울 | ○4-0 | 월드컵 예선 | |||
52 | 1973년 5월 22일 | 서울 | ●0-1 | 월드컵 예선 | |||
53 | 1973년 5월 26일 | 서울 | ●0-1(연장) | 월드컵 예선 | |||
54 | 1973년 6월 23일 | 서울 | ●0-2 | 한일 정기전 | |||
55 | 1974년 2월 12일 | 싱가포르 | ○1-0 | 국제 친선 경기 | |||
56 | 1974년 2월 20일 | 홍콩 | △0-0 | 국제 친선 경기 | |||
57 | 1974년 7월 23일 | 콘스탄차 | ●1-4 | 국제 친선 경기 | |||
58 | 1974년 9월 3일 | 테헤란 | ○4-0 | 아시안 게임 | |||
59 | 1974년 9월 5일 | 테헤란 | △1-1 | 아시안 게임 | |||
60 | 1974년 9월 7일 | 테헤란 | ●0-3 | 아시안 게임 | |||
61 | 1976년 2월 1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0-3 | 아사히 국제 축구 대회 | ||
62 | 1976년 3월 17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3-0 | 올림픽 예선 |
5. 2. 클럽
1965년 고향 팀인 산프레체 히로시마에 입단하여 1976년 은퇴할 때까지 11년간 한 팀에서만 활약하며 일본 사커 리그 5회 우승(4회 연속 우승 포함) 및 1회 준우승, 천황배 3회 우승 및 2회 준우승의 업적을 달성했다. 또한 1965년 일본 축구 올해의 선수상, 1966년 리그 득점왕, 1966년부터 1972년까지 7시즌 연속 베스트 11에 선정되었다.[3][4][5][6]5. 3. 국가대표팀
오기 아리타쓰는 주오 대학 3학년 재학 중이던 1963년 8월 8일 말레이시아와의 친선 경기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가졌다. 1964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하여 아르헨티나와의 D조 조별리그 첫 경기에서 A매치 데뷔골을 기록하며 팀의 8강 진출에 기여했다.[3]1968년 하계 올림픽에도 출전하여 동메달을 획득, 일본 축구 역사상 최초이자 아시아 국가 첫 올림픽 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3번의 아시안 게임(1966년, 1970년, 1974년)에 출전하여 1966년 아시안 게임 동메달을 획득했다.[4] 1976년 A매치 통산 62경기 11골을 기록한 뒤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반납했다.[5]
연도 | 대회 | 득점 | 상대 국가 | 경기 결과 | 비고 |
---|---|---|---|---|---|
1964년 | 1964년 도쿄 올림픽 | 1 | 아르헨티나 | 3 – 2 | 승 |
1966년 | 1966년 방콕 아시안 게임 | 2 | 이란, 인도 | 1 – 3, 3 – 1 | 패, 승 |
1967년 | 1968년 AFC 아시안컵 예선 | 3 | 필리핀, 중화민국 | 15 – 0, 4 – 0 | 승 |
1970년 | 1970년 방콕 아시안 게임 | 2 | 말레이시아, 버마 | 1 – 2, 2 – 1 | 패, 승 |
1971년 | 1972년 뮌헨 올림픽 예선 | 2 | 말레이시아, 필리핀 | 0 – 3, 8 – 1 | 패, 승 |
1972년 | 1974년 서독 월드컵 예선 | 2 | 홍콩, 남베트남 | 4 – 0, 4 – 0 | 승 |
통산 11골 |
연도 | 출장 | 득점 |
---|---|---|
1963 | 7 | 2 |
1964 | 12 | 3 |
1965 | 11 | 2 |
1966 | 17 | 8 |
1967 | 23 | 7 |
1968 | 24 | 1 |
1969 | 21 | 3 |
1970 | 28 | 2 |
1971 | 17 | 4 |
1972 | 19 | 6 |
1973 | 12 | 0 |
1974 | 20 | 3 |
1975 | 1 | 0 |
1976 | 2 | 0 |
통산 | 214 | 41 |
6. 통계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
---|---|---|
연도 | 출장 | 득점 |
1963 | 1 | 0 |
1964 | 1 | 0 |
1965 | 2 | 0 |
1966 | 7 | 2 |
1967 | 5 | 3 |
1968 | 3 | 0 |
1969 | 4 | 0 |
1970 | 13 | 2 |
1971 | 5 | 2 |
1972 | 8 | 2 |
1973 | 5 | 0 |
1974 | 6 | 0 |
1975 | 0 | 0 |
1976 | 2 | 0 |
총합 | 62 | 11 |
6. 1. 클럽 기록
클럽 기록 | 리그 | |||
---|---|---|---|---|
시즌 | 클럽 | 리그 | 출장 | 골 |
일본 | 리그 | |||
1965 | 도요 공업 | JSL 디비전 1 | 14 | 9 |
1966 | 14 | 14 | ||
1967 | 12 | 5 | ||
1968 | 14 | 5 | ||
1969 | 13 | 6 | ||
1970 | 14 | 2 | ||
1971 | 14 | 1 | ||
1972 | 14 | 4 | ||
1973 | 18 | 4 | ||
1974 | 9 | 1 | ||
1975 | 18 | 5 | ||
1976 | 9 | 1 | ||
합계 | 163 | 57 |
오기 아리타쓰는 1965년 도요 공업에 입단하여 1976년 은퇴할 때까지 한 팀에서만 활약하며 일본 사커 리그 5회 우승(4회 연속 우승 포함) 및 1회 준우승, 천황배 3회 우승 및 2회 준우승을 달성했다. 1966년 리그 득점왕을 차지했고, 1966년부터 1972년까지 7시즌 연속 베스트 11에 선정되었다. 또한 1965년과 1970년에는 일본 올해의 축구 선수상을 수상했다.
6. 2. 국가대표팀 기록
오기 아리타쓰는 주오 대학 3학년 재학 중이던 1963년 8월 8일 말레이시아와의 친선 경기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가졌다.[1] 이후 자국에서 열린 1964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하여 아르헨티나와의 D조 조별리그 첫 경기에서 A매치 데뷔골을 기록하며 팀의 8강 진출에 기여했다.멕시코시티에서 열린 1968년 하계 올림픽에도 출전하여 동메달을 획득, 일본 축구 역사상 최초이자 아시아 국가 첫 올림픽 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1966년, 1970년, 1974년 아시안 게임에도 출전하여 1966년 아시안 게임 동메달을 목에 걸었으며, 1976년 A매치 통산 62경기 11골을 기록한 뒤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반납했다.[2] 1968년 올림픽 대표팀은 2018년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
---|---|---|
연도 | 출장 | 득점 |
1963 | 1 | 0 |
1964 | 1 | 0 |
1965 | 2 | 0 |
1966 | 7 | 2 |
1967 | 5 | 3 |
1968 | 3 | 0 |
1969 | 4 | 0 |
1970 | 13 | 2 |
1971 | 5 | 2 |
1972 | 8 | 2 |
1973 | 5 | 0 |
1974 | 6 | 0 |
1975 | 0 | 0 |
1976 | 2 | 0 |
총합 | 62 | 11 |
6. 3. 국가대표팀 득점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
---|---|---|
연도 | 출장 | 득점 |
1963 | 1 | 0 |
1964 | 1 | 0 |
1965 | 2 | 0 |
1966 | 7 | 2 |
1967 | 5 | 3 |
1968 | 3 | 0 |
1969 | 4 | 0 |
1970 | 13 | 2 |
1971 | 5 | 2 |
1972 | 8 | 2 |
1973 | 5 | 0 |
1974 | 6 | 0 |
1975 | 0 | 0 |
1976 | 2 | 0 |
총합 | 62 | 11 |
오기 아리타쓰는 1963년 8월 8일 주오 대학 재학 중 말레이시아와의 친선 경기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1] 그는 1964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하여 아르헨티나와의 D조 조별리그 첫 경기에서 A매치 데뷔골을 기록하며 팀의 8강 진출에 기여했다.[1]
또한 1968년 하계 올림픽에도 출전하여 동메달 획득에 일조했으며, 1966년, 1970년, 1974년 아시안 게임에 출전하여 1966년 아시안 게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오기는 1976년까지 A매치 62경기에서 11골을 기록하고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했다.[2]
6. 4. 감독 기록
1977년 친정팀인 산프레체 히로시마의 감독으로 선임된 후 1980년까지 3년간 지휘봉을 잡았다. 마쓰모토 이쿠오의 후임으로 1977 시즌 일본 사커 리그 4위, 1978년 천황배 준우승 등의 성과를 이끌었다.[1]연도 | 소속 | 클럽 | 리그전 | 컵 대회 | ||||||
---|---|---|---|---|---|---|---|---|---|---|
순위 | 경기 | 승점 | 승리 | 무승부 | 패전 | JSL컵 | 천황배 | |||
1977 | JSL 1부 | 동양 | 4위 | 18 | 42 | 9 | 2PK승 2PK패 | 5 | 예선 탈락 | 8강 |
1978 | 6위 | 18 | 34 | 7 | 3PK승 0PK패 | 8 | 예선 탈락 | 준우승 | ||
1979 | 6위 | 18 | 33 | 5 | 4PK승 5PK패 | 4 | 1회전 | 8강 | ||
1980 | 7위 | 18 | 15 | 6 | 3 | 9 | 8강 | 8강 |
참조
[1]
웹사이트
Aritatsu Ogi Facts
https://www.sports-r[...]
Sports Reference
2009-10-26
[2]
웹사이트
Japan National Football Team Database
http://www.jfootball[...]
2018-05-29
[3]
웹사이트
Asian tour for Asian All Stars after big festival here
https://eresources.n[...]
The Straits Times
1967-03-05
[4]
웹사이트
서울선 6월26일亞洲올·스타蹴球팀 巡訪경기
https://newslibrary.[...]
Kyunghyang
1968-02-22
[5]
웹사이트
OGI Aritatsu
https://www.jfa.jp/e[...]
2024-03-26
[6]
웹사이트
広島県サッカー協会会長の小城得達さん「叙勲を祝う会」盛大に開催される
https://hirospo.com/[...]
2024-03-26
[7]
서적
W杯サッカー日本の礎 原爆少年サッカー魂
南々社
[8]
간행물
週刊サッカーマガジン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1966-07-01
[9]
웹사이트
東洋工業(現マツダ)日本サッカーリーグ4連覇の無敵時代
http://www.pref.hiro[...]
広島県
2012-11-12
[10]
서적
不滅のサッカー王―釜本選手とその仲間たち
大陸書房
[11]
문서
努力の人(上)
[12]
웹사이트
第10回村田杯中学校サッカー大会
http://www.murataox.[...]
村田株式会社
2012-11-12
[13]
웹사이트
1960年11月30日、日ソ交歓サッカー
http://www.chugoku-n[...]
中国新聞
2012-11-12
[14]
웹사이트
第1165回 ルーマニア、ルクセンブルクと連戦 (6)
http://www.jpmoins.c[...]
J.P.モアンのフランス・サッカー幻想交響曲
2012-11-12
[15]
웹사이트
沿革
http://chuo-fc.com/c[...]
中央大学学友会サッカー部
2012-11-12
[16]
서적
大和魂のモダンサッカー
双葉社
[17]
웹사이트
若者に頂点 見せたい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12-11-12
[18]
문서
努力の人(下)
[19]
웹사이트
サッカー今むかし
http://www.jiji.com/[...]
時事通信
2012-11-11
[20]
서적
日本スポーツ50年史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1]
Youtube
크로아티아VS루마니아전반 로스타임의PK|가가와 축구 라이브러리
http://library.footb[...]
[22]
웹사이트
ひと采々~元日本代表サッカープレーヤー小城得達さん
http://www.l-co.co.j[...]
西広島タイムス
2012-11-11
[23]
웹사이트
広島協会会長に小城氏 メキシコ銅の元日本代表
http://www.47news.jp[...]
共同通信
2012-11-12
[24]
웹사이트
小城得達
http://archive.footb[...]
2013-09-06
[25]
웹사이트
広島県サッカー協会会長の小城得達さん「叙勲を祝う会」盛大に開催される
http://hirospo.com/p[...]
ひろスポ!
2017-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